본문 바로가기
AWS

[AWS EC2]웹서버 구축 - ubuntu에 apache웹서버 만들기

by Ju_hye 2020. 3. 6.

이전 글에서는 아마존 AWS에서 EC2인스턴스를 만들고 MobaXterm을 이용해 생성한 인스턴스에 원격접속하였습니다.

(여기서 EC2인스턴스는 쉽게말하자면 원격 컴퓨터를 한 대 만든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오늘은 EC2에 아파치 웹서버를 만들어보겠습니다.

MobaXterm으로 접속한 상태에서 시작합니다.

접속에 어려움이 있다면 일단 aws사이트로 들어가 인스턴스 상태가 running인지 확인하세요.:)

(아니면 sudo shutdown -r now 명령어를 통해 인스턴스 컴퓨터를 재부팅해보세요.)

위의 사진처럼 정상적으로 접속했다면 아래의 명령어로 아파치 웹서버를 설치해줍니다.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apache2

위의 명령어를 치면 아파치 설치가 진행됩니다.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var/www/html 폴더 아래에 index.html이라는 파일이 생깁니다. 환경에 따라 해당 폴더는 달라질 수 있으니 구글에 '아파치 홈디렉토리' 라고 검색하여 확인해보세요.

 

이제 해당 IPv4 퍼블릭 IP를 주소창에 치면 됩니다.

해당 인스턴스의 IPv4 퍼블릭 IP는 이곳에서 확인합니다.

제 블로그를 그대로 따라오신 분 중 퍼블릭 IP를 주소창에 쳤는데 접속이 안되시는 분들이 계실겁니다. 이런 경우에는 보안설정을 바꿔주시면 됩니다.

좌측 메뉴에서 보안그룹을 클릭하고, 해당 인스턴스가 속한 보안그룹을 클릭합니다. (해당 인스턴스가 어떤 보안그룹에 속해있는지는 좌측 메뉴에서 인스턴스를 클릭하고 스크롤을 오른쪽으로 움직이면 보입니다.)

선택한 보안그룹에서 인바운드를 클릭하고 편집을 눌러줍니다.

안되셨던 분들은 위의 화면과 비슷한 화면이 보일겁니다.

여기서 SSH는 MobaXterm에서 원격접속하는 것을 뜻합니다. 이 규칙은 사용자지정이라고 되어있는 부분을 클릭하여 내 IP로 해두는 것이 안전합니다. 이렇게되면 다른 IP로는 내 인스턴스를 SSH접속할 수 없게됩니다.

이제 해야할 것은 규칙을 추가하여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일단 규칙추가버튼을 눌러주세요.

규칙 추가를 누르고 위와 같이 유형은 HTTP, 소스는 위치 무관으로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이제 저장을 누르면 규칙이 저장됩니다. (나중에 DB서버 설정을 위해 다시 와야하니 이 프로세스를 잘 기억해주세요.)

저장을 누르면 위와 같이 규칙이 편집된 것이 보입니다.
사진과 같은 화면이 나오면 아파치 설치가 정상적으로 됀겁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아파치 웹서버에 PHP코드를 올리는 법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